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임신 준비

2025. 4. 1. 19:58건강정보

반응형

갑상선기능저하증을 가진 여성이 임신을 준비할 때는 세심한 관리와 준비가 필요합니다. 산부인과 전문의와 내분비과 전문의의 소견을 바탕으로 임신 준비 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산부인과 전문의 소견

  1. 임신 전 갑상선 기능 검사: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반드시 갑상선 기능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 TSH(갑상선자극호르몬) 수치가 2.5 mIU/L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.
  2. 갑상선 호르몬제 용량 조절: 임신 시 갑상선 호르몬 요구량이 증가하므로, 임신 확인 즉시 주치의와 상담하여 레보티록신 용량을 30% 정도 증량해야 합니다.
  3. 정기적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: 임신 중에는 4-6주 간격으로 갑상선 기능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 임신 분기별로 TSH 목표치가 다르므로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합니다.
  4. 엽산 보충: 임신 전부터 엽산을 복용하여 태아의 신경관 결손을 예방해야 합니다.

내분비과 전문의 소견

  1. 갑상선 자가항체 검사: TPO 항체 검사를 통해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 양성인 경우 유산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  2. 요오드 섭취 관리: 임신 중 요오드 요구량이 증가하므로, 적절한 요오드 섭취를 위해 요오드가 포함된 종합비타민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.
  3. 철분 보충제와의 상호작용 주의: 철분 보충제는 갑상선 호르몬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, 복용 시간을 4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복용해야 합니다.
  4. 스트레스 관리: 스트레스는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,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합니다.

일반적인 주의사항

  • 건강한 식단 유지: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중요합니다.
  • 규칙적인 운동: 적당한 운동은 갑상선 기능과 전반적인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.
  • 충분한 수면: 갑상선 기능과 호르몬 균형에 중요합니다.
  • 환경호르몬 노출 최소화: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줄이고, 유기농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
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임신 준비는 전문의와의 긴밀한 협력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.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호르몬 관리를 통해 건강한 임신과 출산이 가능합니다.

반응형